서울대 공동 연구팀, 이온 신호체계에서 발생하는 증폭 메커니즘 규명
작성자
admndml
작성일
2019-06-28
조회
10
서울대 공동 연구팀, 이온 신호체계에서 발생하는 증폭 메커니즘 규명
이온 기반 생체 신호와 직접 연동하는 소자 구현 가능성 열어

(왼쪽부터) 임승민 박사과정, 정택동 교수, 주영창 교수, 선정윤 교수 (사진: 서울대 제공)
서울대학교 공대(학장 차국헌)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 주영창 교수, 화학부 정택동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이온 신호 체계에서 발생하는 증폭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
공동 연구팀은 이온 전도성 물질인 하이드로젤을 기반으로 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 신호를 직접적으로 받아들이는 소자 및 시스템을 구현해냈다. 이를 통해 생체 시스템에서 분출하는 이온의 양에 근접한 미세 이온 신호를 손실 없이 감지할 수 있다.
연구팀은 나아가 이온 신호 체계에서 발생하는 증폭 현상을 최초로 발견해 전기화학적, 광학적, 전산모사 등의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연구팀이 제안한 방법은 생체에서 나오는 이온 신호를 직접 감지하고 증폭해 최종적으로 이온 신호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기에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신호와 직접적인 연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기사링크 : https://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425
이온 기반 생체 신호와 직접 연동하는 소자 구현 가능성 열어

(왼쪽부터) 임승민 박사과정, 정택동 교수, 주영창 교수, 선정윤 교수 (사진: 서울대 제공)
서울대학교 공대(학장 차국헌)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 주영창 교수, 화학부 정택동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이온 신호 체계에서 발생하는 증폭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
공동 연구팀은 이온 전도성 물질인 하이드로젤을 기반으로 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 신호를 직접적으로 받아들이는 소자 및 시스템을 구현해냈다. 이를 통해 생체 시스템에서 분출하는 이온의 양에 근접한 미세 이온 신호를 손실 없이 감지할 수 있다.
연구팀은 나아가 이온 신호 체계에서 발생하는 증폭 현상을 최초로 발견해 전기화학적, 광학적, 전산모사 등의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연구팀이 제안한 방법은 생체에서 나오는 이온 신호를 직접 감지하고 증폭해 최종적으로 이온 신호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기에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신호와 직접적인 연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기사링크 : https://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425
- 다음 서울대 공대, 늘어나는 금속 전극 제작기술 개발
- 이전 이전글이 없습니다.